영어 검색폼 어학사전 검색창 검색하기 메뉴 다른 사전| 어학사전 언어 리스트 첫번째 사전목록 전체언어 영어 English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한자 두번째 사전목록 베트남어 인도네시아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터키어 태국어 폴란드어 세번째 사전목록 포르투갈어 체코어 헝가리어 아랍어 스웨덴어 힌디어 네덜란드어 네번째 사전목록 페르시아어 스와힐리어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사전홈 단어장 주가매출액비율 [株價賣出額北率, price se (만월행, 128개, 2012.01.27최종수정) 즐겨찾기 다운로드 단어 목록 단어 전체선택 발음듣기 | 단어장 이동하기 레이어 단어장 선택 발음듣기 레이어 이전 단어 일시정지 재생 다음 단어 설정 반복횟수 1회 2회 3회 4회 5회 재생간격 1초 2초 3초 4초 5초 선택내용 : 최신순 선택옵션 최신순 철자순 뜻 감추기 요약보기 단어 선택 매트릭스 체제 : 금융그룹 계열사별로 분리돼 중복되던 업무를 사업단위[Business Unit]로 묶어 담당 부문장을 두고 업무를 총괄하는 체제 금융그룹 계열사별로 분리돼 중복되던 업무를 사업단위[Business Unit]로 묶어 담당 부문장을 두고 업무를 총괄하는 체제 단어 선택 주식워런트증권[ELWㆍEquity Linked Warrant] 주식과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을 사전에 정해진 미래 시점과 가격에 사거나[call] 팔[put] 수 있는 권리[옵션]를 부여하는 파생투자상품. 주식과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을 사전에 정해진 미래 시점과 가격에 사거나[call] 팔[put] 수 있는 권리[옵션]를 부여하는 파생투자상품. 단어 선택 레버리지 ETF[leveraged ETF] 선물과 옵션 등의 파생상품과 차입을 이용하는 ETF를 말한다. ETF가 추종하고 있는 지수의 등락에 따라 1의 수익이나 손실을 입는다고 한다면, 레버리지 ETF는 파생상품과 차입을 통해 추적지수의 변동폭 보다 몇배의 수익이나 손실을 거두도록 설계된다. 주식시장이 상승기라고 판단될 때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수단으로 활용된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섹터 ETF : 2006년 1월 23일부터 산출ㆍ발표되고 있는 자동차[KRX Autos], 은행[KRX Banks], 건강산업[KRX Health Care], 반도체[KRX Semicon], 정보통신[KRX IT] 등 5개 섹터지수를 대상으로 한 상장지수펀드[ETF]. ETF는 특정 주가지수에 연동되는 인덱스펀드인 동시에 거래소에 상장돼 실시간 거래되는 펀드로, 주식처럼 증권사에 직접 주문을 내거나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등으로 매매가 가능하다. 거래세[0.3%]가 면제돼 주식투자에 비해 거래비용이 절감된다. - 스타일 ETF[Style STF] : Style exchange traded fund 주식의 스타일, 즉 특성과 성과가 비슷한 종목들을 묶어 산출된 스타일 지수를 추적하는 상장지수 펀드. 크게 가치주와 성장주로 나뉜다. 가치주에는 주가순자산비율 주가현금흐름비율 배당수익률 등이, 성장주에는 순이익과 매출액 증가 예상 추이, 내부 성장률 등 지표로 사용된다. ETF하나로 분산투자의 효과가 있으며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쉽게 거래할 수 있고 환매수수료와 증권 거래세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 상장지수펀드[지수연동형 펀드][ETFs] : Exchange Traded Funds KOSPI200지수나 KOSPI50지수와 같은 특정주가지수나 종목을 묶어 만든 펀드로 한국거래소[KRX]에 상장·매매된다. 해당 주가지수에 편입된 주식의 바스켓[10개 이상의 주식 조합]과 동일하게 펀드를 구성하고, 이에 따라 발행된 주식이나 수익증권을 거래소 상장해 일반 개인들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수묶음 1주당 가격은 1만원이고 매매 최소단위는 10주이기 때문에 10만원 이상이면 언제든 펀드투자가 가능하다. 일반 펀드의 경우 가입이나 환매[펀드자금 인출] 때 다음날 기준가로 가격이 결정되는데 반해 상장지수펀드는 실시간 가격으로 매매가격이 결정된다는 점도 특징이다. 상장지수 편드의 특징은 수익률이 특정지수에 연동되고, 환매 요구시 요구단위에 제한을 둔 점, 그리고 환매가 이루어지더라도 투자자들이 위탁회사로부터 현금이 아닌 현물[주식]을 수령한다는 점이 일반 인덱스 펀드와 다른 점이다. 최초의 상장지수펀드는 S&P500지수 펀드로 1993년 1월 미국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10월 14일부터 상장지수펀드의 매매가 시작됐다. 2009년 2월 자본시장법령 개정으로 ETF가 연동하는 자산에 대한 규제[종합 지수에 연동, 지수를 이룬 기초 자산은 증권에 한정]가 폐지되면서 채권, 금이나 석유 등 실물상품에 투자하는 ETF나 지수변화와 거꾸로 연동하는 인버스 ETF, 지수변화의 일정배율을 연동하는 레버리지 ETF 등도 가능하게 됐다. 작성자 만월행 선물과 옵션 등의 파생상품과 차입을 이용하는 ETF를 말한다. ETF가 추종하고 있는 지수의 등락에 따라 1의 수익이나 손실을 입는다고 한다면, 레버리지 ETF는 파생상품과 차입을 통해 추적지수의 변동폭 보다 몇배의 수익이나 손실을 거두도록 설계된다. 주식시장이 상승기라고 판단될 때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수단으로 활용된다. 단어 선택 스태그플레이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낮아지는 경기침체[stagnation]와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결합한 말.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경기상황이 대표적인 사례다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낮아지는 경기침체[stagnation]와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결합한 말.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경기상황이 대표적인 사례다 단어 선택 부채담보부증권[CDO]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회사채나 금융기관의 대출채권, 자산담보부증권 [ABS]이나 주택저당증권 [MBS] 등을 묶어만든 유동화 채권으로 신용파생상품의 일종. 특히 기초자산이 회사채인 경우 채권담보부증권[CBO•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 채권보증회사[모노라인]들이 보증을 서기도 한다. CDO는 담보로 사용된 대출이나 회사채가 제때 상환되지 못할 경우 투자자들의 손실로 이어진다. 수익을 목적으로 발 행하는 'Arbitrage CDO'와 신용위험을 투자자에게 전가하기 위해 발행하는 'Balance Sheet CDO[B/S CDO]'로 나뉜다. CDO는 2006년 미국 등에서 1조달러[약 917조원]어치가 발행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불거진 후 채권 가격이 폭락하면서 주요 금융회사 등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입었다. 90년대 중반에 첫 선을 보인후 미국, 유럽 등지에서 발행규모가 증가해왔다.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회사채나 금융기관의 대출채권, 자산담보부증권 [ABS]이나 주택저당증권 [MBS] 등을 묶어만든 유동화 채권으로 신용파생상품의 일종. 특히 기초자산이 회사채인 경우 채권담보부증권[CBO•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 채권보증회사[모노라인]들이 보증을 서기도 한다. CDO는 담보로 사용된 대출이나 회사채가 제때 상환되지 못할 경우 투자자들의 손실로 이어진다. 수익을 목적으로 발 행하는 'Arbitrage CDO'와 신용위험을 투자자에게 전가하기 위해 발행하는 'Balance Sheet CDO[B/S CDO]'로 나뉜다. CDO는 2006년 미국 등에서 1조달러[약 917조원]어치가 발행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불거진 후 채권 가격이 폭락하면서 주요 금융회사 등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입었다. 90년대 중반에 첫 선을 보인후 미국, 유럽 등지에서 발행규모가 증가해왔다. 단어 선택 투자자-국가 직접소송제도[ISD]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FTA 협정을 체결한 투자 대상 국가가 협정을 위반하는 경우 외국 투자자가 대상 국가를 세계은행 산하의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ICSID]에 제소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즉 미국 투자자가 우리 정부의 조치로 자신의 투자가 손해를 보게 될 경우 그 투자자는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에 우리 국가를 제소하여 보상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외국투자자 차별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부의 공공정책을 무력화하는 단점도 있다. 정식 명칭은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FTA 협정을 체결한 투자 대상 국가가 협정을 위반하는 경우 외국 투자자가 대상 국가를 세계은행 산하의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ICSID]에 제소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즉 미국 투자자가 우리 정부의 조치로 자신의 투자가 손해를 보게 될 경우 그 투자자는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에 우리 국가를 제소하여 보상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외국투자자 차별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부의 공공정책을 무력화하는 단점도 있다. 정식 명칭은 단어 선택 특별인출권[SDR] special drawing right 1969년 IMF가 브레튼우즈 체제의 고정환율제를 지지하기 위해 내놓은 것으로 국제 유동성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해 금이나 달러 등의 준비자산을 보완하는 2차적 준비자산으로 등장한 제3의 통화. IMF 회원국과 IMF와 다른 국제기구간 거래에 사용된다. 미국이 기축통화인 달러를 무제한 공급할 경우 경상수지적자가 확대된ㄴ 문제가 있어 만들었다. SDR 보유국가는 이를 다른 회원국으로부터 달러와 유로 등 교환성 통화와 맞바꿀 수 있으며, 금 등과 함께 외환보유액에 포함된다. SDR의 가치는 당초 금에 의해 표시되었으나 주요 선진국들이 변동환율제를 채택함으로써 1974년 7월부터 가치기준을 세계 무역에서 비중이 큰 16개국의 통화시세를 가중평균하는 방식인 표준 바스켓 방식[standard basket system]으로 변경했고 그 후 1980년 9월 IMF총회에서는 표준 바스켓의 통화를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 등 5개국의 통화로 축소됐고 2002년 유로화의 도입으로 표준바스켓통화는 달러화,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가 됐다. 서브프라임이후 달러화 주도의 국제 금융시장에 대한 위기감이 대두되면서 중국이 SDR이 달러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SDR1960년대 들어서 나타난 국제유동성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IMF에 의하여 1970년 1월부터 배분되기 시작한 국제준비자산을 말한다. → IMF 특별인출권 -new facility1997년 11월, 마닐라에서 개최된 13개국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고위급회의에서금융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IMF내에 설치하기로 제안, 합의된 supplementary reservefacility를 말한다. 금리는 SDR 금리 + 3%이고, 1년 경과 후는 SDR금리 + 5%까지 인상되며, 상환은 인출 1년 후 2분의 1, 1년 6개월후 2분의 1을 상환해야 하지만 필요한 경우 1년간 연장가능하다. -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국제통화기금. 가맹국들이 공동의 기금을 만들어 회원국들이 이용케 함으로써 각국의 외화자금 부족을 덜고 외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1947년 3월 설립. 브레턴우즈 협정에 설립근거를 두고 있으며 본부는 미국 워싱턴이다. 작성자 만월행 special drawing right 1969년 IMF가 브레튼우즈 체제의 고정환율제를 지지하기 위해 내놓은 것으로 국제 유동성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해 금이나 달러 등의 준비자산을 보완하는 2차적 준비자산으로 등장한 제3의 통화. IMF 회원국과 IMF와 다른 국제기구간 거래에 사용된다. 미국이 기축통화인 달러를 무제한 공급할 경우 경상수지적자가 확대된ㄴ 문제가 있어 만들었다. SDR 보유국가는 이를 다른 회원국으로부터 달러와 유로 등 교환성 통화와 맞바꿀 수 있으며, 금 등과 함께 외환보유액에 포함된다. SDR의 가치는 당초 금에 의해 표시되었으나 주요 선진국들이 변동환율제를 채택함으로써 1974년 7월부터 가치기준을 세계 무역에서 비중이 큰 16개국의 통화시세를 가중평균하는 방식인 표준 바스켓 방식[standard basket system]으로 변경했고 그 후 1980년 9월 IMF총회에서는 표준 바스켓의 통화를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 등 5개국의 통화로 축소됐고 2002년 유로화의 도입으로 표준바스켓통화는 달러화,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가 됐다. 서브프라임이후 달러화 주도의 국제 금융시장에 대한 위기감이 대두되면서 중국이 SDR이 달러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단어 선택 토빈세 국제 단기자금[핫머니]의 급격한 유출입으로 통화위기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외환 유출입에 물리는 세금을 토빈세[Tobin Tax]라고 부른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토빈 예일대 교수가 1978년 제안했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로빈후드세[Robin Hood Tax] :2001년 영국의 한 시민단체가 이렇게 거둬들인 세금을 저소득층 지원 등에 사용하자고 주장하면서 확산된 개념이다. 이후 국제 금융거래뿐만 아니라 금융기관의 금융거래, 기업과 부유층의 과다한 소득, 금융회사 임직원의 보너스 등에 세금을 매겨 저소득층 지원 등에 사용하는 개념을 통틀어 로빈후드세로 부른다. 작성자 만월행 국제 단기자금[핫머니]의 급격한 유출입으로 통화위기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외환 유출입에 물리는 세금을 토빈세[Tobin Tax]라고 부른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토빈 예일대 교수가 1978년 제안했다 단어 선택 안도 랠리[Relief Rally] 주식시장이 어떤 특정한 악재 때문에 불안하게 움직이다가 그 우려가 해소될 경우 안도감으로 상승세가 이어지는 현상. 랠리는 증시가 약세에서 강세로 전환하며 하락한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걸 뜻한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인디언 서머[Indian Summer] :주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했다가 다시 급락하는 현상. 인디언 서머는 본래 북아메리카에서 한가을과 늦가을 사이에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날이 일시적으로 계속되는 기간을 뜻한다. 비슷한 표현으로 주가가 급락한 뒤 일시적으로 반등하는 ‘데드 캣 바운스[Dead Cat Bounce]’가 있다. 작성자 만월행 주식시장이 어떤 특정한 악재 때문에 불안하게 움직이다가 그 우려가 해소될 경우 안도감으로 상승세가 이어지는 현상. 랠리는 증시가 약세에서 강세로 전환하며 하락한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걸 뜻한다. 단어 선택 국제회계기준[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런던 소재 민간기구인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1973년에 제정한 것으로 미국 회계기준[US-GAAP]과 더불어 글로벌 회계기준의 역할을 해왔다. 2002년 엔론,월드콤 등의 회계 부정사건을 계기로 미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는 미 회계기준을 IFRS와 합치시키기 위해 협의를 진행했으며 그 결실로 2002년 9월 FASB와 IASB의 합동회의 이후 IFRS는 글로벌 단일회계표준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했다. IFRS의 특징은 △규칙에 근거[rule-based]한 회계처리보다는 회계담당자가 경제적 실질에 기초해 회계처리를 하는 원칙중심[principle-based] △연결재무제표가 주재무제표인 연결회계 중심 △장부가[취득원가]보다는 현재의 자산가치에 초점을 맞추는 공정가치[fair-value accounting] 중심이라는 점을 꼽을 수 있다. IFRS를 사용하는 국가가 2011년에는 약 150여 개국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오는 2009년 1월부터는 금융기관을 제외한 모든 기업에 자발적으로 적용되는데 이어 2011년 사업연도 회계장부부터 상장사,상장예정기업,비상장 금융사[저축은행 · 리스 · 할부금융사 제외]부터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런던 소재 민간기구인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1973년에 제정한 것으로 미국 회계기준[US-GAAP]과 더불어 글로벌 회계기준의 역할을 해왔다. 2002년 엔론,월드콤 등의 회계 부정사건을 계기로 미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는 미 회계기준을 IFRS와 합치시키기 위해 협의를 진행했으며 그 결실로 2002년 9월 FASB와 IASB의 합동회의 이후 IFRS는 글로벌 단일회계표준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했다. IFRS의 특징은 △규칙에 근거[rule-based]한 회계처리보다는 회계담당자가 경제적 실질에 기초해 회계처리를 하는 원칙중심[principle-based] △연결재무제표가 주재무제표인 연결회계 중심 △장부가[취득원가]보다는 현재의 자산가치에 초점을 맞추는 공정가치[fair-value accounting] 중심이라는 점을 꼽을 수 있다. IFRS를 사용하는 국가가 2011년에는 약 150여 개국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오는 2009년 1월부터는 금융기관을 제외한 모든 기업에 자발적으로 적용되는데 이어 2011년 사업연도 회계장부부터 상장사,상장예정기업,비상장 금융사[저축은행 · 리스 · 할부금융사 제외]부터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다음페이지 Daum 사전앱을 다운로드하세요! 서비스 메뉴 서비스 약관/정책| 권리침해신고| 사전 고객센터| 사전 문의하기| 공지사항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 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단어장 주가매출액비율 [株價賣出額北率, price se (만월행, 128개, 2012.01.27최종수정) 즐겨찾기 다운로드 단어 목록 단어 전체선택 발음듣기 | 단어장 이동하기 레이어 단어장 선택 발음듣기 레이어 이전 단어 일시정지 재생 다음 단어 설정 반복횟수 1회 2회 3회 4회 5회 재생간격 1초 2초 3초 4초 5초 선택내용 : 최신순 선택옵션 최신순 철자순 뜻 감추기 요약보기 단어 선택 매트릭스 체제 : 금융그룹 계열사별로 분리돼 중복되던 업무를 사업단위[Business Unit]로 묶어 담당 부문장을 두고 업무를 총괄하는 체제 금융그룹 계열사별로 분리돼 중복되던 업무를 사업단위[Business Unit]로 묶어 담당 부문장을 두고 업무를 총괄하는 체제 단어 선택 주식워런트증권[ELWㆍEquity Linked Warrant] 주식과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을 사전에 정해진 미래 시점과 가격에 사거나[call] 팔[put] 수 있는 권리[옵션]를 부여하는 파생투자상품. 주식과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을 사전에 정해진 미래 시점과 가격에 사거나[call] 팔[put] 수 있는 권리[옵션]를 부여하는 파생투자상품. 단어 선택 레버리지 ETF[leveraged ETF] 선물과 옵션 등의 파생상품과 차입을 이용하는 ETF를 말한다. ETF가 추종하고 있는 지수의 등락에 따라 1의 수익이나 손실을 입는다고 한다면, 레버리지 ETF는 파생상품과 차입을 통해 추적지수의 변동폭 보다 몇배의 수익이나 손실을 거두도록 설계된다. 주식시장이 상승기라고 판단될 때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수단으로 활용된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섹터 ETF : 2006년 1월 23일부터 산출ㆍ발표되고 있는 자동차[KRX Autos], 은행[KRX Banks], 건강산업[KRX Health Care], 반도체[KRX Semicon], 정보통신[KRX IT] 등 5개 섹터지수를 대상으로 한 상장지수펀드[ETF]. ETF는 특정 주가지수에 연동되는 인덱스펀드인 동시에 거래소에 상장돼 실시간 거래되는 펀드로, 주식처럼 증권사에 직접 주문을 내거나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등으로 매매가 가능하다. 거래세[0.3%]가 면제돼 주식투자에 비해 거래비용이 절감된다. - 스타일 ETF[Style STF] : Style exchange traded fund 주식의 스타일, 즉 특성과 성과가 비슷한 종목들을 묶어 산출된 스타일 지수를 추적하는 상장지수 펀드. 크게 가치주와 성장주로 나뉜다. 가치주에는 주가순자산비율 주가현금흐름비율 배당수익률 등이, 성장주에는 순이익과 매출액 증가 예상 추이, 내부 성장률 등 지표로 사용된다. ETF하나로 분산투자의 효과가 있으며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쉽게 거래할 수 있고 환매수수료와 증권 거래세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 상장지수펀드[지수연동형 펀드][ETFs] : Exchange Traded Funds KOSPI200지수나 KOSPI50지수와 같은 특정주가지수나 종목을 묶어 만든 펀드로 한국거래소[KRX]에 상장·매매된다. 해당 주가지수에 편입된 주식의 바스켓[10개 이상의 주식 조합]과 동일하게 펀드를 구성하고, 이에 따라 발행된 주식이나 수익증권을 거래소 상장해 일반 개인들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수묶음 1주당 가격은 1만원이고 매매 최소단위는 10주이기 때문에 10만원 이상이면 언제든 펀드투자가 가능하다. 일반 펀드의 경우 가입이나 환매[펀드자금 인출] 때 다음날 기준가로 가격이 결정되는데 반해 상장지수펀드는 실시간 가격으로 매매가격이 결정된다는 점도 특징이다. 상장지수 편드의 특징은 수익률이 특정지수에 연동되고, 환매 요구시 요구단위에 제한을 둔 점, 그리고 환매가 이루어지더라도 투자자들이 위탁회사로부터 현금이 아닌 현물[주식]을 수령한다는 점이 일반 인덱스 펀드와 다른 점이다. 최초의 상장지수펀드는 S&P500지수 펀드로 1993년 1월 미국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10월 14일부터 상장지수펀드의 매매가 시작됐다. 2009년 2월 자본시장법령 개정으로 ETF가 연동하는 자산에 대한 규제[종합 지수에 연동, 지수를 이룬 기초 자산은 증권에 한정]가 폐지되면서 채권, 금이나 석유 등 실물상품에 투자하는 ETF나 지수변화와 거꾸로 연동하는 인버스 ETF, 지수변화의 일정배율을 연동하는 레버리지 ETF 등도 가능하게 됐다. 작성자 만월행 선물과 옵션 등의 파생상품과 차입을 이용하는 ETF를 말한다. ETF가 추종하고 있는 지수의 등락에 따라 1의 수익이나 손실을 입는다고 한다면, 레버리지 ETF는 파생상품과 차입을 통해 추적지수의 변동폭 보다 몇배의 수익이나 손실을 거두도록 설계된다. 주식시장이 상승기라고 판단될 때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수단으로 활용된다. 단어 선택 스태그플레이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낮아지는 경기침체[stagnation]와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결합한 말.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경기상황이 대표적인 사례다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낮아지는 경기침체[stagnation]와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결합한 말.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경기상황이 대표적인 사례다 단어 선택 부채담보부증권[CDO]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회사채나 금융기관의 대출채권, 자산담보부증권 [ABS]이나 주택저당증권 [MBS] 등을 묶어만든 유동화 채권으로 신용파생상품의 일종. 특히 기초자산이 회사채인 경우 채권담보부증권[CBO•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 채권보증회사[모노라인]들이 보증을 서기도 한다. CDO는 담보로 사용된 대출이나 회사채가 제때 상환되지 못할 경우 투자자들의 손실로 이어진다. 수익을 목적으로 발 행하는 'Arbitrage CDO'와 신용위험을 투자자에게 전가하기 위해 발행하는 'Balance Sheet CDO[B/S CDO]'로 나뉜다. CDO는 2006년 미국 등에서 1조달러[약 917조원]어치가 발행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불거진 후 채권 가격이 폭락하면서 주요 금융회사 등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입었다. 90년대 중반에 첫 선을 보인후 미국, 유럽 등지에서 발행규모가 증가해왔다.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회사채나 금융기관의 대출채권, 자산담보부증권 [ABS]이나 주택저당증권 [MBS] 등을 묶어만든 유동화 채권으로 신용파생상품의 일종. 특히 기초자산이 회사채인 경우 채권담보부증권[CBO•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 채권보증회사[모노라인]들이 보증을 서기도 한다. CDO는 담보로 사용된 대출이나 회사채가 제때 상환되지 못할 경우 투자자들의 손실로 이어진다. 수익을 목적으로 발 행하는 'Arbitrage CDO'와 신용위험을 투자자에게 전가하기 위해 발행하는 'Balance Sheet CDO[B/S CDO]'로 나뉜다. CDO는 2006년 미국 등에서 1조달러[약 917조원]어치가 발행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불거진 후 채권 가격이 폭락하면서 주요 금융회사 등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입었다. 90년대 중반에 첫 선을 보인후 미국, 유럽 등지에서 발행규모가 증가해왔다. 단어 선택 투자자-국가 직접소송제도[ISD]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FTA 협정을 체결한 투자 대상 국가가 협정을 위반하는 경우 외국 투자자가 대상 국가를 세계은행 산하의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ICSID]에 제소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즉 미국 투자자가 우리 정부의 조치로 자신의 투자가 손해를 보게 될 경우 그 투자자는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에 우리 국가를 제소하여 보상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외국투자자 차별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부의 공공정책을 무력화하는 단점도 있다. 정식 명칭은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FTA 협정을 체결한 투자 대상 국가가 협정을 위반하는 경우 외국 투자자가 대상 국가를 세계은행 산하의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ICSID]에 제소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즉 미국 투자자가 우리 정부의 조치로 자신의 투자가 손해를 보게 될 경우 그 투자자는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에 우리 국가를 제소하여 보상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외국투자자 차별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부의 공공정책을 무력화하는 단점도 있다. 정식 명칭은 단어 선택 특별인출권[SDR] special drawing right 1969년 IMF가 브레튼우즈 체제의 고정환율제를 지지하기 위해 내놓은 것으로 국제 유동성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해 금이나 달러 등의 준비자산을 보완하는 2차적 준비자산으로 등장한 제3의 통화. IMF 회원국과 IMF와 다른 국제기구간 거래에 사용된다. 미국이 기축통화인 달러를 무제한 공급할 경우 경상수지적자가 확대된ㄴ 문제가 있어 만들었다. SDR 보유국가는 이를 다른 회원국으로부터 달러와 유로 등 교환성 통화와 맞바꿀 수 있으며, 금 등과 함께 외환보유액에 포함된다. SDR의 가치는 당초 금에 의해 표시되었으나 주요 선진국들이 변동환율제를 채택함으로써 1974년 7월부터 가치기준을 세계 무역에서 비중이 큰 16개국의 통화시세를 가중평균하는 방식인 표준 바스켓 방식[standard basket system]으로 변경했고 그 후 1980년 9월 IMF총회에서는 표준 바스켓의 통화를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 등 5개국의 통화로 축소됐고 2002년 유로화의 도입으로 표준바스켓통화는 달러화,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가 됐다. 서브프라임이후 달러화 주도의 국제 금융시장에 대한 위기감이 대두되면서 중국이 SDR이 달러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SDR1960년대 들어서 나타난 국제유동성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IMF에 의하여 1970년 1월부터 배분되기 시작한 국제준비자산을 말한다. → IMF 특별인출권 -new facility1997년 11월, 마닐라에서 개최된 13개국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고위급회의에서금융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IMF내에 설치하기로 제안, 합의된 supplementary reservefacility를 말한다. 금리는 SDR 금리 + 3%이고, 1년 경과 후는 SDR금리 + 5%까지 인상되며, 상환은 인출 1년 후 2분의 1, 1년 6개월후 2분의 1을 상환해야 하지만 필요한 경우 1년간 연장가능하다. -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국제통화기금. 가맹국들이 공동의 기금을 만들어 회원국들이 이용케 함으로써 각국의 외화자금 부족을 덜고 외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1947년 3월 설립. 브레턴우즈 협정에 설립근거를 두고 있으며 본부는 미국 워싱턴이다. 작성자 만월행 special drawing right 1969년 IMF가 브레튼우즈 체제의 고정환율제를 지지하기 위해 내놓은 것으로 국제 유동성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해 금이나 달러 등의 준비자산을 보완하는 2차적 준비자산으로 등장한 제3의 통화. IMF 회원국과 IMF와 다른 국제기구간 거래에 사용된다. 미국이 기축통화인 달러를 무제한 공급할 경우 경상수지적자가 확대된ㄴ 문제가 있어 만들었다. SDR 보유국가는 이를 다른 회원국으로부터 달러와 유로 등 교환성 통화와 맞바꿀 수 있으며, 금 등과 함께 외환보유액에 포함된다. SDR의 가치는 당초 금에 의해 표시되었으나 주요 선진국들이 변동환율제를 채택함으로써 1974년 7월부터 가치기준을 세계 무역에서 비중이 큰 16개국의 통화시세를 가중평균하는 방식인 표준 바스켓 방식[standard basket system]으로 변경했고 그 후 1980년 9월 IMF총회에서는 표준 바스켓의 통화를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 등 5개국의 통화로 축소됐고 2002년 유로화의 도입으로 표준바스켓통화는 달러화,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가 됐다. 서브프라임이후 달러화 주도의 국제 금융시장에 대한 위기감이 대두되면서 중국이 SDR이 달러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단어 선택 토빈세 국제 단기자금[핫머니]의 급격한 유출입으로 통화위기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외환 유출입에 물리는 세금을 토빈세[Tobin Tax]라고 부른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토빈 예일대 교수가 1978년 제안했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로빈후드세[Robin Hood Tax] :2001년 영국의 한 시민단체가 이렇게 거둬들인 세금을 저소득층 지원 등에 사용하자고 주장하면서 확산된 개념이다. 이후 국제 금융거래뿐만 아니라 금융기관의 금융거래, 기업과 부유층의 과다한 소득, 금융회사 임직원의 보너스 등에 세금을 매겨 저소득층 지원 등에 사용하는 개념을 통틀어 로빈후드세로 부른다. 작성자 만월행 국제 단기자금[핫머니]의 급격한 유출입으로 통화위기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외환 유출입에 물리는 세금을 토빈세[Tobin Tax]라고 부른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토빈 예일대 교수가 1978년 제안했다 단어 선택 안도 랠리[Relief Rally] 주식시장이 어떤 특정한 악재 때문에 불안하게 움직이다가 그 우려가 해소될 경우 안도감으로 상승세가 이어지는 현상. 랠리는 증시가 약세에서 강세로 전환하며 하락한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걸 뜻한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인디언 서머[Indian Summer] :주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했다가 다시 급락하는 현상. 인디언 서머는 본래 북아메리카에서 한가을과 늦가을 사이에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날이 일시적으로 계속되는 기간을 뜻한다. 비슷한 표현으로 주가가 급락한 뒤 일시적으로 반등하는 ‘데드 캣 바운스[Dead Cat Bounce]’가 있다. 작성자 만월행 주식시장이 어떤 특정한 악재 때문에 불안하게 움직이다가 그 우려가 해소될 경우 안도감으로 상승세가 이어지는 현상. 랠리는 증시가 약세에서 강세로 전환하며 하락한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걸 뜻한다. 단어 선택 국제회계기준[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런던 소재 민간기구인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1973년에 제정한 것으로 미국 회계기준[US-GAAP]과 더불어 글로벌 회계기준의 역할을 해왔다. 2002년 엔론,월드콤 등의 회계 부정사건을 계기로 미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는 미 회계기준을 IFRS와 합치시키기 위해 협의를 진행했으며 그 결실로 2002년 9월 FASB와 IASB의 합동회의 이후 IFRS는 글로벌 단일회계표준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했다. IFRS의 특징은 △규칙에 근거[rule-based]한 회계처리보다는 회계담당자가 경제적 실질에 기초해 회계처리를 하는 원칙중심[principle-based] △연결재무제표가 주재무제표인 연결회계 중심 △장부가[취득원가]보다는 현재의 자산가치에 초점을 맞추는 공정가치[fair-value accounting] 중심이라는 점을 꼽을 수 있다. IFRS를 사용하는 국가가 2011년에는 약 150여 개국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오는 2009년 1월부터는 금융기관을 제외한 모든 기업에 자발적으로 적용되는데 이어 2011년 사업연도 회계장부부터 상장사,상장예정기업,비상장 금융사[저축은행 · 리스 · 할부금융사 제외]부터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런던 소재 민간기구인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1973년에 제정한 것으로 미국 회계기준[US-GAAP]과 더불어 글로벌 회계기준의 역할을 해왔다. 2002년 엔론,월드콤 등의 회계 부정사건을 계기로 미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는 미 회계기준을 IFRS와 합치시키기 위해 협의를 진행했으며 그 결실로 2002년 9월 FASB와 IASB의 합동회의 이후 IFRS는 글로벌 단일회계표준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했다. IFRS의 특징은 △규칙에 근거[rule-based]한 회계처리보다는 회계담당자가 경제적 실질에 기초해 회계처리를 하는 원칙중심[principle-based] △연결재무제표가 주재무제표인 연결회계 중심 △장부가[취득원가]보다는 현재의 자산가치에 초점을 맞추는 공정가치[fair-value accounting] 중심이라는 점을 꼽을 수 있다. IFRS를 사용하는 국가가 2011년에는 약 150여 개국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오는 2009년 1월부터는 금융기관을 제외한 모든 기업에 자발적으로 적용되는데 이어 2011년 사업연도 회계장부부터 상장사,상장예정기업,비상장 금융사[저축은행 · 리스 · 할부금융사 제외]부터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다음페이지
단어장 주가매출액비율 [株價賣出額北率, price se (만월행, 128개, 2012.01.27최종수정) 즐겨찾기 다운로드 단어 목록 단어 전체선택 발음듣기 | 단어장 이동하기 레이어 단어장 선택 발음듣기 레이어 이전 단어 일시정지 재생 다음 단어 설정 반복횟수 1회 2회 3회 4회 5회 재생간격 1초 2초 3초 4초 5초 선택내용 : 최신순 선택옵션 최신순 철자순 뜻 감추기 요약보기 단어 선택 매트릭스 체제 : 금융그룹 계열사별로 분리돼 중복되던 업무를 사업단위[Business Unit]로 묶어 담당 부문장을 두고 업무를 총괄하는 체제 금융그룹 계열사별로 분리돼 중복되던 업무를 사업단위[Business Unit]로 묶어 담당 부문장을 두고 업무를 총괄하는 체제 단어 선택 주식워런트증권[ELWㆍEquity Linked Warrant] 주식과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을 사전에 정해진 미래 시점과 가격에 사거나[call] 팔[put] 수 있는 권리[옵션]를 부여하는 파생투자상품. 주식과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을 사전에 정해진 미래 시점과 가격에 사거나[call] 팔[put] 수 있는 권리[옵션]를 부여하는 파생투자상품. 단어 선택 레버리지 ETF[leveraged ETF] 선물과 옵션 등의 파생상품과 차입을 이용하는 ETF를 말한다. ETF가 추종하고 있는 지수의 등락에 따라 1의 수익이나 손실을 입는다고 한다면, 레버리지 ETF는 파생상품과 차입을 통해 추적지수의 변동폭 보다 몇배의 수익이나 손실을 거두도록 설계된다. 주식시장이 상승기라고 판단될 때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수단으로 활용된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섹터 ETF : 2006년 1월 23일부터 산출ㆍ발표되고 있는 자동차[KRX Autos], 은행[KRX Banks], 건강산업[KRX Health Care], 반도체[KRX Semicon], 정보통신[KRX IT] 등 5개 섹터지수를 대상으로 한 상장지수펀드[ETF]. ETF는 특정 주가지수에 연동되는 인덱스펀드인 동시에 거래소에 상장돼 실시간 거래되는 펀드로, 주식처럼 증권사에 직접 주문을 내거나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등으로 매매가 가능하다. 거래세[0.3%]가 면제돼 주식투자에 비해 거래비용이 절감된다. - 스타일 ETF[Style STF] : Style exchange traded fund 주식의 스타일, 즉 특성과 성과가 비슷한 종목들을 묶어 산출된 스타일 지수를 추적하는 상장지수 펀드. 크게 가치주와 성장주로 나뉜다. 가치주에는 주가순자산비율 주가현금흐름비율 배당수익률 등이, 성장주에는 순이익과 매출액 증가 예상 추이, 내부 성장률 등 지표로 사용된다. ETF하나로 분산투자의 효과가 있으며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쉽게 거래할 수 있고 환매수수료와 증권 거래세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 상장지수펀드[지수연동형 펀드][ETFs] : Exchange Traded Funds KOSPI200지수나 KOSPI50지수와 같은 특정주가지수나 종목을 묶어 만든 펀드로 한국거래소[KRX]에 상장·매매된다. 해당 주가지수에 편입된 주식의 바스켓[10개 이상의 주식 조합]과 동일하게 펀드를 구성하고, 이에 따라 발행된 주식이나 수익증권을 거래소 상장해 일반 개인들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수묶음 1주당 가격은 1만원이고 매매 최소단위는 10주이기 때문에 10만원 이상이면 언제든 펀드투자가 가능하다. 일반 펀드의 경우 가입이나 환매[펀드자금 인출] 때 다음날 기준가로 가격이 결정되는데 반해 상장지수펀드는 실시간 가격으로 매매가격이 결정된다는 점도 특징이다. 상장지수 편드의 특징은 수익률이 특정지수에 연동되고, 환매 요구시 요구단위에 제한을 둔 점, 그리고 환매가 이루어지더라도 투자자들이 위탁회사로부터 현금이 아닌 현물[주식]을 수령한다는 점이 일반 인덱스 펀드와 다른 점이다. 최초의 상장지수펀드는 S&P500지수 펀드로 1993년 1월 미국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10월 14일부터 상장지수펀드의 매매가 시작됐다. 2009년 2월 자본시장법령 개정으로 ETF가 연동하는 자산에 대한 규제[종합 지수에 연동, 지수를 이룬 기초 자산은 증권에 한정]가 폐지되면서 채권, 금이나 석유 등 실물상품에 투자하는 ETF나 지수변화와 거꾸로 연동하는 인버스 ETF, 지수변화의 일정배율을 연동하는 레버리지 ETF 등도 가능하게 됐다. 작성자 만월행 선물과 옵션 등의 파생상품과 차입을 이용하는 ETF를 말한다. ETF가 추종하고 있는 지수의 등락에 따라 1의 수익이나 손실을 입는다고 한다면, 레버리지 ETF는 파생상품과 차입을 통해 추적지수의 변동폭 보다 몇배의 수익이나 손실을 거두도록 설계된다. 주식시장이 상승기라고 판단될 때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수단으로 활용된다. 단어 선택 스태그플레이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낮아지는 경기침체[stagnation]와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결합한 말.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경기상황이 대표적인 사례다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낮아지는 경기침체[stagnation]와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결합한 말.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경기상황이 대표적인 사례다 단어 선택 부채담보부증권[CDO]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회사채나 금융기관의 대출채권, 자산담보부증권 [ABS]이나 주택저당증권 [MBS] 등을 묶어만든 유동화 채권으로 신용파생상품의 일종. 특히 기초자산이 회사채인 경우 채권담보부증권[CBO•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 채권보증회사[모노라인]들이 보증을 서기도 한다. CDO는 담보로 사용된 대출이나 회사채가 제때 상환되지 못할 경우 투자자들의 손실로 이어진다. 수익을 목적으로 발 행하는 'Arbitrage CDO'와 신용위험을 투자자에게 전가하기 위해 발행하는 'Balance Sheet CDO[B/S CDO]'로 나뉜다. CDO는 2006년 미국 등에서 1조달러[약 917조원]어치가 발행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불거진 후 채권 가격이 폭락하면서 주요 금융회사 등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입었다. 90년대 중반에 첫 선을 보인후 미국, 유럽 등지에서 발행규모가 증가해왔다.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회사채나 금융기관의 대출채권, 자산담보부증권 [ABS]이나 주택저당증권 [MBS] 등을 묶어만든 유동화 채권으로 신용파생상품의 일종. 특히 기초자산이 회사채인 경우 채권담보부증권[CBO•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 채권보증회사[모노라인]들이 보증을 서기도 한다. CDO는 담보로 사용된 대출이나 회사채가 제때 상환되지 못할 경우 투자자들의 손실로 이어진다. 수익을 목적으로 발 행하는 'Arbitrage CDO'와 신용위험을 투자자에게 전가하기 위해 발행하는 'Balance Sheet CDO[B/S CDO]'로 나뉜다. CDO는 2006년 미국 등에서 1조달러[약 917조원]어치가 발행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불거진 후 채권 가격이 폭락하면서 주요 금융회사 등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입었다. 90년대 중반에 첫 선을 보인후 미국, 유럽 등지에서 발행규모가 증가해왔다. 단어 선택 투자자-국가 직접소송제도[ISD]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FTA 협정을 체결한 투자 대상 국가가 협정을 위반하는 경우 외국 투자자가 대상 국가를 세계은행 산하의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ICSID]에 제소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즉 미국 투자자가 우리 정부의 조치로 자신의 투자가 손해를 보게 될 경우 그 투자자는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에 우리 국가를 제소하여 보상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외국투자자 차별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부의 공공정책을 무력화하는 단점도 있다. 정식 명칭은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FTA 협정을 체결한 투자 대상 국가가 협정을 위반하는 경우 외국 투자자가 대상 국가를 세계은행 산하의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ICSID]에 제소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즉 미국 투자자가 우리 정부의 조치로 자신의 투자가 손해를 보게 될 경우 그 투자자는 국제투자분쟁중재센터에 우리 국가를 제소하여 보상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외국투자자 차별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부의 공공정책을 무력화하는 단점도 있다. 정식 명칭은 단어 선택 특별인출권[SDR] special drawing right 1969년 IMF가 브레튼우즈 체제의 고정환율제를 지지하기 위해 내놓은 것으로 국제 유동성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해 금이나 달러 등의 준비자산을 보완하는 2차적 준비자산으로 등장한 제3의 통화. IMF 회원국과 IMF와 다른 국제기구간 거래에 사용된다. 미국이 기축통화인 달러를 무제한 공급할 경우 경상수지적자가 확대된ㄴ 문제가 있어 만들었다. SDR 보유국가는 이를 다른 회원국으로부터 달러와 유로 등 교환성 통화와 맞바꿀 수 있으며, 금 등과 함께 외환보유액에 포함된다. SDR의 가치는 당초 금에 의해 표시되었으나 주요 선진국들이 변동환율제를 채택함으로써 1974년 7월부터 가치기준을 세계 무역에서 비중이 큰 16개국의 통화시세를 가중평균하는 방식인 표준 바스켓 방식[standard basket system]으로 변경했고 그 후 1980년 9월 IMF총회에서는 표준 바스켓의 통화를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 등 5개국의 통화로 축소됐고 2002년 유로화의 도입으로 표준바스켓통화는 달러화,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가 됐다. 서브프라임이후 달러화 주도의 국제 금융시장에 대한 위기감이 대두되면서 중국이 SDR이 달러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SDR1960년대 들어서 나타난 국제유동성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IMF에 의하여 1970년 1월부터 배분되기 시작한 국제준비자산을 말한다. → IMF 특별인출권 -new facility1997년 11월, 마닐라에서 개최된 13개국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고위급회의에서금융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IMF내에 설치하기로 제안, 합의된 supplementary reservefacility를 말한다. 금리는 SDR 금리 + 3%이고, 1년 경과 후는 SDR금리 + 5%까지 인상되며, 상환은 인출 1년 후 2분의 1, 1년 6개월후 2분의 1을 상환해야 하지만 필요한 경우 1년간 연장가능하다. -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국제통화기금. 가맹국들이 공동의 기금을 만들어 회원국들이 이용케 함으로써 각국의 외화자금 부족을 덜고 외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1947년 3월 설립. 브레턴우즈 협정에 설립근거를 두고 있으며 본부는 미국 워싱턴이다. 작성자 만월행 special drawing right 1969년 IMF가 브레튼우즈 체제의 고정환율제를 지지하기 위해 내놓은 것으로 국제 유동성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해 금이나 달러 등의 준비자산을 보완하는 2차적 준비자산으로 등장한 제3의 통화. IMF 회원국과 IMF와 다른 국제기구간 거래에 사용된다. 미국이 기축통화인 달러를 무제한 공급할 경우 경상수지적자가 확대된ㄴ 문제가 있어 만들었다. SDR 보유국가는 이를 다른 회원국으로부터 달러와 유로 등 교환성 통화와 맞바꿀 수 있으며, 금 등과 함께 외환보유액에 포함된다. SDR의 가치는 당초 금에 의해 표시되었으나 주요 선진국들이 변동환율제를 채택함으로써 1974년 7월부터 가치기준을 세계 무역에서 비중이 큰 16개국의 통화시세를 가중평균하는 방식인 표준 바스켓 방식[standard basket system]으로 변경했고 그 후 1980년 9월 IMF총회에서는 표준 바스켓의 통화를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 등 5개국의 통화로 축소됐고 2002년 유로화의 도입으로 표준바스켓통화는 달러화,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가 됐다. 서브프라임이후 달러화 주도의 국제 금융시장에 대한 위기감이 대두되면서 중국이 SDR이 달러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단어 선택 토빈세 국제 단기자금[핫머니]의 급격한 유출입으로 통화위기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외환 유출입에 물리는 세금을 토빈세[Tobin Tax]라고 부른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토빈 예일대 교수가 1978년 제안했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로빈후드세[Robin Hood Tax] :2001년 영국의 한 시민단체가 이렇게 거둬들인 세금을 저소득층 지원 등에 사용하자고 주장하면서 확산된 개념이다. 이후 국제 금융거래뿐만 아니라 금융기관의 금융거래, 기업과 부유층의 과다한 소득, 금융회사 임직원의 보너스 등에 세금을 매겨 저소득층 지원 등에 사용하는 개념을 통틀어 로빈후드세로 부른다. 작성자 만월행 국제 단기자금[핫머니]의 급격한 유출입으로 통화위기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외환 유출입에 물리는 세금을 토빈세[Tobin Tax]라고 부른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토빈 예일대 교수가 1978년 제안했다 단어 선택 안도 랠리[Relief Rally] 주식시장이 어떤 특정한 악재 때문에 불안하게 움직이다가 그 우려가 해소될 경우 안도감으로 상승세가 이어지는 현상. 랠리는 증시가 약세에서 강세로 전환하며 하락한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걸 뜻한다. 메모 접기 메모 메모| - 인디언 서머[Indian Summer] :주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했다가 다시 급락하는 현상. 인디언 서머는 본래 북아메리카에서 한가을과 늦가을 사이에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날이 일시적으로 계속되는 기간을 뜻한다. 비슷한 표현으로 주가가 급락한 뒤 일시적으로 반등하는 ‘데드 캣 바운스[Dead Cat Bounce]’가 있다. 작성자 만월행 주식시장이 어떤 특정한 악재 때문에 불안하게 움직이다가 그 우려가 해소될 경우 안도감으로 상승세가 이어지는 현상. 랠리는 증시가 약세에서 강세로 전환하며 하락한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걸 뜻한다. 단어 선택 국제회계기준[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런던 소재 민간기구인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1973년에 제정한 것으로 미국 회계기준[US-GAAP]과 더불어 글로벌 회계기준의 역할을 해왔다. 2002년 엔론,월드콤 등의 회계 부정사건을 계기로 미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는 미 회계기준을 IFRS와 합치시키기 위해 협의를 진행했으며 그 결실로 2002년 9월 FASB와 IASB의 합동회의 이후 IFRS는 글로벌 단일회계표준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했다. IFRS의 특징은 △규칙에 근거[rule-based]한 회계처리보다는 회계담당자가 경제적 실질에 기초해 회계처리를 하는 원칙중심[principle-based] △연결재무제표가 주재무제표인 연결회계 중심 △장부가[취득원가]보다는 현재의 자산가치에 초점을 맞추는 공정가치[fair-value accounting] 중심이라는 점을 꼽을 수 있다. IFRS를 사용하는 국가가 2011년에는 약 150여 개국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오는 2009년 1월부터는 금융기관을 제외한 모든 기업에 자발적으로 적용되는데 이어 2011년 사업연도 회계장부부터 상장사,상장예정기업,비상장 금융사[저축은행 · 리스 · 할부금융사 제외]부터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런던 소재 민간기구인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1973년에 제정한 것으로 미국 회계기준[US-GAAP]과 더불어 글로벌 회계기준의 역할을 해왔다. 2002년 엔론,월드콤 등의 회계 부정사건을 계기로 미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는 미 회계기준을 IFRS와 합치시키기 위해 협의를 진행했으며 그 결실로 2002년 9월 FASB와 IASB의 합동회의 이후 IFRS는 글로벌 단일회계표준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했다. IFRS의 특징은 △규칙에 근거[rule-based]한 회계처리보다는 회계담당자가 경제적 실질에 기초해 회계처리를 하는 원칙중심[principle-based] △연결재무제표가 주재무제표인 연결회계 중심 △장부가[취득원가]보다는 현재의 자산가치에 초점을 맞추는 공정가치[fair-value accounting] 중심이라는 점을 꼽을 수 있다. IFRS를 사용하는 국가가 2011년에는 약 150여 개국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오는 2009년 1월부터는 금융기관을 제외한 모든 기업에 자발적으로 적용되는데 이어 2011년 사업연도 회계장부부터 상장사,상장예정기업,비상장 금융사[저축은행 · 리스 · 할부금융사 제외]부터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