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어학사전으로 모르는 단어와 문장을 손쉽게 찾아보세요.
PC웹, 모바일, 태블릿 PC에서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um 단어장 바로가기 Daum 단어장 메뉴 바로가기 Daum 단어장 내용 바로가기

단어장

주가매출액비율 [株價賣出額北率, price se

(만월행, 128개, 2012.01.27최종수정)

단어 목록

발음듣기 |
선택내용 : 최신순 선택옵션

exchange-traded note 특정지수의 수익을 추종하도록 설계된 채권이다. 채권과 원자재, 통화, 주식, 선물 등에 투자해 해당 상품가격이 오르면 수익률도 따라 오른다. 금융회사가 자기신용으로 발행하고 ETF처럼 거래소에 상장되기 때문에 시장에서 ETN을 자유롭게 사고팔수 있다

exchange-traded note 특정지수의 수익을 추종하도록 설계된 채권이다. 채권과 원자재, 통화, 주식, 선물 등에 투자해 해당 상품가격이 오르면 수익률도 따라 오른다. 금융회사가 자기신용으로 발행하고 ETF처럼 거래소에 상장되기 때문에 시장에서 ETN을 자유롭게 사고팔수 있다

버냉키 FRB 의장이 금리 인상 중단을 시사하면 주가가 급등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 반대로 버냉키 의장이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면 주가가 급락하는 현상을 '버냉키 쇼크'라고 한다

버냉키 FRB 의장이 금리 인상 중단을 시사하면 주가가 급등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 반대로 버냉키 의장이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면 주가가 급락하는 현상을 '버냉키 쇼크'라고 한다

미국 동부지역에서 둔 늦가을에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가 잠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증권시장에서 본격적인 하락국면을 앞두고 주가가 잠시 오르는 현상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된다.

미국 동부지역에서 둔 늦가을에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가 잠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증권시장에서 본격적인 하락국면을 앞두고 주가가 잠시 오르는 현상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된다.

흔히 여름 급등장세를 서머랠리라고 표현하는데, 여름철에 보통 약할 것으로 예상되던 주가가 한두차례 돌발적인 상승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외국의경우 여름 휴가가 장기간이어서 휴가를 가기 전에 주식을 사두려는 심리가 작용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머랠리는 다른 특별한 요인이 없는 경우 두달간 계속되는 예는드물며 7,8월 한달중에 나타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흔히 여름 급등장세를 서머랠리라고 표현하는데, 여름철에 보통 약할 것으로 예상되던 주가가 한두차례 돌발적인 상승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외국의경우 여름 휴가가 장기간이어서 휴가를 가기 전에 주식을 사두려는 심리가 작용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머랠리는 다른 특별한 요인이 없는 경우 두달간 계속되는 예는드물며 7,8월 한달중에 나타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식시장의 약세[bear market]가 지속되는 가운데 일시적으로 주가가 반등하는 현상을 말한다. 보통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1개월 이상 회복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주식시장의 약세[bear market]가 지속되는 가운데 일시적으로 주가가 반등하는 현상을 말한다. 보통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1개월 이상 회복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금융기관이 미래 불확실성을 대비하기 위해 돈을 제대로 공급하지 않아 기업들이 자금난을 겪는 현상이다. 신용경색이 나타나면 기업들은 자금 부족으로 인해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워지고 무역업체들도 수출입 활동에 큰 제약을 받 게된다. 금융기관간에도 '신용이 실종'되면서 공급되는 자금의 절대량이 줄어들거나 자금의 통로가 막혀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금융기관이 미래 불확실성을 대비하기 위해 돈을 제대로 공급하지 않아 기업들이 자금난을 겪는 현상이다. 신용경색이 나타나면 기업들은 자금 부족으로 인해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워지고 무역업체들도 수출입 활동에 큰 제약을 받 게된다. 금융기관간에도 '신용이 실종'되면서 공급되는 자금의 절대량이 줄어들거나 자금의 통로가 막혀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통화량 자체를 늘림으로써 초저금리 상태에서 금리 정책을 통한 경기 부양이 한계에 부딪쳤을 때 중앙은행이 발권력[화폐를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을 동원, 통화량 공급을 늘려 경기방어와 신용경색을 해소하는 정책. 정책금리가 0에 근접해 금리정책 효과가 더이상 발휘되지 않는 비상국면에 동원된다. 미국은 98년 금융위기 이후 연 0~0.25%로 낮춘 기준금리 탓에 추가 금리정책을 쓸 수 없게 되자 경기부양책으로 국채 등의 증권을 매입해 시중에 달러를 대량 풀기도 했다. 90년대 일본에서도 거품경제가 붕괴한 후 일본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0% 수준까지로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디플레이션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2001년부터 5년간 은행들이 보유한 장기국채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양적 완화 정책을 동원하여 장기금리를 끌어내렸다. 이후 2008년 9월 미국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미국경제가 얼어붙자 FRB는 2009년 초부터 2010년 3월까지 1차 양적 완화를 실시했다.[QE1]1차 양적 완화 이후에도 미국 경제가 되살아나지 못하자 곧바로 2차 양적 완화[QE2]를 실시하고 있으며 2차양적완화는 2011년 6월 말 종료됐다. FRB는 미국경제의 회복이 가시화되지 않을 경우 3차 양적완화[QE3]실시를 검토하고 있다.

통화량 자체를 늘림으로써 초저금리 상태에서 금리 정책을 통한 경기 부양이 한계에 부딪쳤을 때 중앙은행이 발권력[화폐를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을 동원, 통화량 공급을 늘려 경기방어와 신용경색을 해소하는 정책. 정책금리가 0에 근접해 금리정책 효과가 더이상 발휘되지 않는 비상국면에 동원된다. 미국은 98년 금융위기 이후 연 0~0.25%로 낮춘 기준금리 탓에 추가 금리정책을 쓸 수 없게 되자 경기부양책으로 국채 등의 증권을 매입해 시중에 달러를 대량 풀기도 했다. 90년대 일본에서도 거품경제가 붕괴한 후 일본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0% 수준까지로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디플레이션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2001년부터 5년간 은행들이 보유한 장기국채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양적 완화 정책을 동원하여 장기금리를 끌어내렸다. 이후 2008년 9월 미국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미국경제가 얼어붙자 FRB는 2009년 초부터 2010년 3월까지 1차 양적 완화를 실시했다.[QE1]1차 양적 완화 이후에도 미국 경제가 되살아나지 못하자 곧바로 2차 양적 완화[QE2]를 실시하고 있으며 2차양적완화는 2011년 6월 말 종료됐다. FRB는 미국경제의 회복이 가시화되지 않을 경우 3차 양적완화[QE3]실시를 검토하고 있다.

price on book value ratio 주가가 한 주당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한 주가기준의 하나. 장부가에 의한 한 주당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으로 나누어서 구한다. PBR라고도 하며 PER[주가수익비율]와 함께 주식투자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회사가 망하고 나면 회사는 총자산에서 부채를 우선 변제해야 한다. 그러고도 남는 자산이 순자산이란 것인데, 이것이 큰 회사는 그만큼 재무구조가 튼튼한 것이고 안정적이다. 주당 순자산은‘[총자산-총부채]÷발행주식수’가 된다. 그러므로 주당순자산비율[PBR]은 ‘주가÷주당순자산’이 되고 배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력, 수익력이 높다는 말이다. PBR이 2미만이면 주가가 장부상 순자산가치[청산가치]에도 못 미친다는 뜻이다. PER가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를 평가하는 지표인 데 비해 PBR는 기업의 재무상태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다.

price on book value ratio 주가가 한 주당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한 주가기준의 하나. 장부가에 의한 한 주당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으로 나누어서 구한다. PBR라고도 하며 PER[주가수익비율]와 함께 주식투자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회사가 망하고 나면 회사는 총자산에서 부채를 우선 변제해야 한다. 그러고도 남는 자산이 순자산이란 것인데, 이것이 큰 회사는 그만큼 재무구조가 튼튼한 것이고 안정적이다. 주당 순자산은‘[총자산-총부채]÷발행주식수’가 된다. 그러므로 주당순자산비율[PBR]은 ‘주가÷주당순자산’이 되고 배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력, 수익력이 높다는 말이다. PBR이 2미만이면 주가가 장부상 순자산가치[청산가치]에도 못 미친다는 뜻이다. PER가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를 평가하는 지표인 데 비해 PBR는 기업의 재무상태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다.
이전페이지 없음 11 12 1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