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어학사전으로 모르는 단어와 문장을 손쉽게 찾아보세요.
PC웹, 모바일, 태블릿 PC에서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um 단어장 바로가기 Daum 단어장 메뉴 바로가기 Daum 단어장 내용 바로가기

단어장

주가매출액비율 [株價賣出額北率, price se

(만월행, 128개, 2012.01.27최종수정)

단어 목록

발음듣기 |
선택내용 : 최신순 선택옵션

주가를 최근 12개월간의 주당이익으로 나눈 비율이다. 주식시장에서 현재의 주당이익에 대하여 주가가 얼마나 높게 형성되어 있는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 비율은 최근 연도의 주당이익을 사용하거나 애널리스트들의 예상 주당이익을 쓰기도 한다. 이 비율이 크면 수익성에 비해 그 주식이 높게 평가되어 있으므로 위험도 높고 가격변동성도 높음을 의미한다. 이 비율이 낮은 주식들은 저성장 혹은 성숙산업이다. 주가이익비율이 낮은 주식들은 그러나 배당을 많이 주는 것이 특징이다.

주가를 최근 12개월간의 주당이익으로 나눈 비율이다. 주식시장에서 현재의 주당이익에 대하여 주가가 얼마나 높게 형성되어 있는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 비율은 최근 연도의 주당이익을 사용하거나 애널리스트들의 예상 주당이익을 쓰기도 한다. 이 비율이 크면 수익성에 비해 그 주식이 높게 평가되어 있으므로 위험도 높고 가격변동성도 높음을 의미한다. 이 비율이 낮은 주식들은 저성장 혹은 성숙산업이다. 주가이익비율이 낮은 주식들은 그러나 배당을 많이 주는 것이 특징이다.

일정기간의 주가를 순차적으로 산술평균한 것으로 어느 시점에서 시장의 전반적인 주가흐름을 판단하고 향후 주가추이를 전망하는 데 사용되는 주식시장의 대표적인 기술지표 가운데 하나이다. 매일 매일의 주가이동평균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 주가이동평균선인데 일반적으로 6일 및 25일선을 단기, 75일선을 중기, 150일 이상을 장기이동평균선으로 각각 부르고 있다. 이동평균선 작성방법은 매일의 종합주가지수 종가로 산출한 이동평균값을 선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예컨대 어느 날짜의 6일 주가이동평균은 그날을 포함한 최근 6일의 종합주가지수 종가를 합산해 6으로 나눈 값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매일 산출한 주가이동평균을 선으로 연결하면 주가이동평균선이 된다. 주가이동평균선에 의한 주가예측은 이동평균선 자체의 방향성과 현실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괴리도가 이론의 중심이 되고 있다.

일정기간의 주가를 순차적으로 산술평균한 것으로 어느 시점에서 시장의 전반적인 주가흐름을 판단하고 향후 주가추이를 전망하는 데 사용되는 주식시장의 대표적인 기술지표 가운데 하나이다. 매일 매일의 주가이동평균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 주가이동평균선인데 일반적으로 6일 및 25일선을 단기, 75일선을 중기, 150일 이상을 장기이동평균선으로 각각 부르고 있다. 이동평균선 작성방법은 매일의 종합주가지수 종가로 산출한 이동평균값을 선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예컨대 어느 날짜의 6일 주가이동평균은 그날을 포함한 최근 6일의 종합주가지수 종가를 합산해 6으로 나눈 값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매일 산출한 주가이동평균을 선으로 연결하면 주가이동평균선이 된다. 주가이동평균선에 의한 주가예측은 이동평균선 자체의 방향성과 현실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괴리도가 이론의 중심이 되고 있다.

주식을 사전에 정한 미래 시기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하는 증권이다. 특정 종목이나 코스피 200같은 지수에서 파생된 상품으로 가격 상승을 기대하면 콜ELW, 하락을 예상하면 풋ELW를 사면 된다.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가치가 급감한다.

주식을 사전에 정한 미래 시기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하는 증권이다. 특정 종목이나 코스피 200같은 지수에서 파생된 상품으로 가격 상승을 기대하면 콜ELW, 하락을 예상하면 풋ELW를 사면 된다.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가치가 급감한다.

주가연계펀드[ELF]란 파생상품펀드의 일종으로, 투자신탁회사들이 ELS 상품을 펀드에 편입하거나 자체적으로 ‘원금보존 추구형’ 펀드를 구성해 판매하는 형태의 상품이다. 대부분의 펀드자산은 국공채나 우량 회사채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여 만기 때에 원금을 확보한다. 나머지 잔여재산은 증권회사에서 발행한 ELS Warrant[권리증서]에 편입해 펀드 수익률이 주가에 연동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ELF는 펀드의 수익률이 주가나 주가지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화된 수익구조를 갖는다. ELF는 베리어형, 디지털형, 조기상환형 등 수익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다. 그 중 '원금보장형'과 '조기상환형'이 대표적 형태이다. 원금보장형은 원금은 보장하되 주가가 상승 혹은 하락 시 상승 혹은 하락율의 일정비율을 이자로 지급하는 것이다. 원금비보장형은 원금은 보장되지 않으며, 주가가 일정수준 이상일 경우 9%~15%의 금리를 지급한다. ELF은 2003년 1월부터 판매되고 있다. 주가지수 및 개별주식에 연동되어 수익이 지급되는 장외파생상품으로는 ELF 외에 주가연동예금[Equity Linked Deposit : ELD]과 주가연계증권[ELS]가 있다.

주가연계펀드[ELF]란 파생상품펀드의 일종으로, 투자신탁회사들이 ELS 상품을 펀드에 편입하거나 자체적으로 ‘원금보존 추구형’ 펀드를 구성해 판매하는 형태의 상품이다. 대부분의 펀드자산은 국공채나 우량 회사채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여 만기 때에 원금을 확보한다. 나머지 잔여재산은 증권회사에서 발행한 ELS Warrant[권리증서]에 편입해 펀드 수익률이 주가에 연동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ELF는 펀드의 수익률이 주가나 주가지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화된 수익구조를 갖는다. ELF는 베리어형, 디지털형, 조기상환형 등 수익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다. 그 중 '원금보장형'과 '조기상환형'이 대표적 형태이다. 원금보장형은 원금은 보장하되 주가가 상승 혹은 하락 시 상승 혹은 하락율의 일정비율을 이자로 지급하는 것이다. 원금비보장형은 원금은 보장되지 않으며, 주가가 일정수준 이상일 경우 9%~15%의 금리를 지급한다. ELF은 2003년 1월부터 판매되고 있다. 주가지수 및 개별주식에 연동되어 수익이 지급되는 장외파생상품으로는 ELF 외에 주가연동예금[Equity Linked Deposit : ELD]과 주가연계증권[ELS]가 있다.

고객이 맡긴 자금을 국공채 등 채권과 주식 투자로 운용, 채권수익률과 주가지수[KOSPI]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ELS펀드는 주가지수 연동예금이 가진 높은 수익률 외에 세제혜택, 안정성 등 금융상품의 장점을 고루 갖추고 있다. 펀드의 경우 주가지수연동예금과 달리 고객이 맡긴 예금 중 채권에 편입되는 금액에 대해서만 과세하고 주식 등 옵션투자로 운용되는 그 수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물지 않는다. 상품 자체가 펀드로 분류, 옵션 부문의 투자수익은 자본차익으로 인정되는 데 따른 것이다. ELS는 또 운용상 예금이 아닌 채권으로 분류돼 예금자보호대상[5000만원 한도]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전체 자금의 95%가 국공채에 투자, 사실상 정기예금보다 예금보장 부문에서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객이 맡긴 자금을 국공채 등 채권과 주식 투자로 운용, 채권수익률과 주가지수[KOSPI]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ELS펀드는 주가지수 연동예금이 가진 높은 수익률 외에 세제혜택, 안정성 등 금융상품의 장점을 고루 갖추고 있다. 펀드의 경우 주가지수연동예금과 달리 고객이 맡긴 예금 중 채권에 편입되는 금액에 대해서만 과세하고 주식 등 옵션투자로 운용되는 그 수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물지 않는다. 상품 자체가 펀드로 분류, 옵션 부문의 투자수익은 자본차익으로 인정되는 데 따른 것이다. ELS는 또 운용상 예금이 아닌 채권으로 분류돼 예금자보호대상[5000만원 한도]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전체 자금의 95%가 국공채에 투자, 사실상 정기예금보다 예금보장 부문에서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환사채와 주식을 교환하는 경우의 가격. 주식1주와 교환되는 사채의 액면으로 표시된다. 이에 대한 전환 비율은 일정액의 전환 사채에 대해 발행되는 주식의 수로 표시된다. 전환 가격과 전환 비율은 표시 형식이 다를 뿐, 실질적으로는 똑같다. 또 전환할 때 주식의 액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액면 전환이라 하고, 주식의 시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시가 전환이라 한다.

전환사채와 주식을 교환하는 경우의 가격. 주식1주와 교환되는 사채의 액면으로 표시된다. 이에 대한 전환 비율은 일정액의 전환 사채에 대해 발행되는 주식의 수로 표시된다. 전환 가격과 전환 비율은 표시 형식이 다를 뿐, 실질적으로는 똑같다. 또 전환할 때 주식의 액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액면 전환이라 하고, 주식의 시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시가 전환이라 한다.

장하성[張夏成·] 고려대 교수가 제안하고 주도한 '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 2006년 8월부터 출시되었다. 장하성 펀드는 지배구조가 불투명한 기업의 지분을 인수해 투명한 이사진을 구성하는 등 기업 가치를 높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주식값이 저평가된 중소기업의 경영진과 투명 경영을 조건으로 투자계약을 맺고, 주식 매입을 통해 경영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장하성[張夏成·] 고려대 교수가 제안하고 주도한 '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 2006년 8월부터 출시되었다. 장하성 펀드는 지배구조가 불투명한 기업의 지분을 인수해 투명한 이사진을 구성하는 등 기업 가치를 높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주식값이 저평가된 중소기업의 경영진과 투명 경영을 조건으로 투자계약을 맺고, 주식 매입을 통해 경영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주가를 1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수치로 비율이 작을수록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주가를 1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수치로 비율이 작을수록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펀드매니저의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초과수익률을 추적 오차로 나눈 값을 말한다. 정보비율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펀드매니저가 벤치마크와 다른 수익률[초과수익률]을 얻는 원천이 자신들만의 고유한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정보비율은 펀드매니저의 투자기법이 탁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만 과연 어느 정도의 값이 높은 수준인가에 대해서는 이론적인 근거가 없다. 실무적으로 미국에서는 정보비율이 0.5 이상인 경우에는 ‘우수’, 0.75 이상인 경우에는 ‘매우 우수’, 1.0 이상인 경우에는 ‘탁월’한 것으로 평가한다.

펀드매니저의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초과수익률을 추적 오차로 나눈 값을 말한다. 정보비율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펀드매니저가 벤치마크와 다른 수익률[초과수익률]을 얻는 원천이 자신들만의 고유한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정보비율은 펀드매니저의 투자기법이 탁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만 과연 어느 정도의 값이 높은 수준인가에 대해서는 이론적인 근거가 없다. 실무적으로 미국에서는 정보비율이 0.5 이상인 경우에는 ‘우수’, 0.75 이상인 경우에는 ‘매우 우수’, 1.0 이상인 경우에는 ‘탁월’한 것으로 평가한다.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쌍방간의 협정에 의해서 거래되는 파생상품. 금리스왑과 선물금리 계정이 대표적 장외파생상품[OTC derivatives]이며, 거래당사자에 맞추어 자유롭게 약정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주문자 생산형’이 특징이다. 거래소 거래에서는 거래소나 결제기구가 자금의 결제를 책임지므로 거래 상대방의 신용리스크는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스왑거래는 상대방의 신용도에 따라 여신한도를 설정하는 등 상대매매이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쌍방간의 협정에 의해서 거래되는 파생상품. 금리스왑과 선물금리 계정이 대표적 장외파생상품[OTC derivatives]이며, 거래당사자에 맞추어 자유롭게 약정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주문자 생산형’이 특징이다. 거래소 거래에서는 거래소나 결제기구가 자금의 결제를 책임지므로 거래 상대방의 신용리스크는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스왑거래는 상대방의 신용도에 따라 여신한도를 설정하는 등 상대매매이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