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어학사전으로 모르는 단어와 문장을 손쉽게 찾아보세요.
PC웹, 모바일, 태블릿 PC에서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um 단어장 바로가기 Daum 단어장 메뉴 바로가기 Daum 단어장 내용 바로가기

단어장

특허 용어

(낭만호빵, 500개, 2015.10.08최종수정)

단어 목록

발음듣기 |
선택내용 : 최신순 선택옵션

전문증언

메모 접기
메모
메모|

증인신문에서 전문증언은 의견 (opinion) 과 힘께 원칙적으로 증거능력이 없디.

작성자 낭만호빵

전문증언

@심리/구술심리 @공청회/청문

메모 접기
메모
메모|

CD 원래는 형평법 (equity) 상 소송심리를 의미하지만, 현재는 광의적으로 법원에
서 실시되는 심리를 나타낸다. 이에 반하여 특히 쟁점사실에 대한 심리를 주목적으
로 하는 것을 trial 이 라 한다.
또 특허심판절차에 관련해서는 심판에서 행해지는 구술심리 (oral hearing) 를 의
미한다. 즉 심판을 클레임할 때에 청구인이 심판청구이유서 (appellant' s brie f)에 기
술하고 있지 아니한 주정을 하고 싶을 경우, 또는 도해(圖解)나 시각적 수단에 의하
여 발명에 관한 논의를 하고 싶은 경우에 구술심리가 행해지도록 희망할 수 있다

작성자 낭만호빵

@심리/구술심리 @공청회/청문

계약금, 보증금

계약금, 보증금

피보증인

메모 접기
메모
메모|

보증계약(guaranty) 에 의하여 보증을 받은 사람.
guarantor
보증인

작성자 낭만호빵

피보증인

중과실, 심한 태만

메모 접기
메모
메모|

자신의 것에 대한 주의외 같은 정도의 주의를 동종의 타인의 것에 대한 처리에
있어 기울이지 않는 것. 주의의무의 위반이 현저한 과실, 현저한 부주의, 태만의 경
우로서 조금만 주의를 하였다면 충분히 피해의 발생을 막을 수 있었음에도 그 주의
조차 태만히 한 정도의 주의의무 위반을 말한다.

작성자 낭만호빵

중과실, 심한 태만

양수인

양수인

특허부여일

특허부여일

그랜트백

메모 접기
메모
메모|

특허의 라이센스계약에서 라이센스된 특허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실시권자
(licensee) 가 개발한 개량발명의 특허를 실시허락자(licensor) 가 실시권자에게 양도
또는 실시허락을 요구하는 것 결과적으로 실시권자의 발명의욕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계약은 대부분 반트러스트법의 위반행위가 된다.

작성자 낭만호빵

그랜트백

허가 / 부여

메모 접기
메모
메모|

특허권처럼 인도할 수 있는 유체물이 존재하지 아니하여 직접 인도가 곤란한 경
우에 서변에 의하여 재산을 이전하는 것, 또는 특허권 등의 권리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특허에 관련해서는 특허권을 부여하는 경우, 실시권을 허락하는 경우 등에
서 사용된다.
-• grant a certificate
증명서를교부하다
• grant a claim
클레임을 허가하다
• grant a patent on an application
출원에 관한 특허를 부여하다
• grant of right
권리부여

작성자 낭만호빵

허가 / 부여

그라함 테스트(비자명성 테스트)

메모 접기
메모
메모|

특허법제 103조에 규정한 밥명의 자명성 (obviousness) 또는 비자명성 (unobvio
usness) 을 판단하는 기법,
Graham test는 다음의 3단계의 스템 (step) 으로 진행된다.(1) 선행기술의 내용을
명확히 한다. (2) 선행기술과 문제가 되고 있는 클레임과의 기술적 차아를 명확히
한다. (3) 당업자의 수준을 명확히 한다
이 Graham test는 1952년에 특허법제 103조의 규정으로 도입된 이래 처음으로 자
명성에 관한 대법원의 판단이 된 Graham사건 (Graham et al v. John Deere Co. et
al148USPQ 459(1966, February 21)) 의 판결에서 나타난 것으로써, 자명성 또는 비
자명성 판단의 기초가 되고 있다. 특히 대법원의 판단이라는 점에서 특허상표청
(PTO) 에서도 특허심사펀람 (MPEP) 에 이 기준에 따라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MPEP706)
또 그 후의 대법원 판례, Sakraida사건 (Sakraida v. Ag Pro. 189USPQ 449
(1976)) , Anderson’s Black Rock사건 (Anderson’ s Black Rock Inc. v. Pavement
Salvage Co. 163USPQ 673 (1969)) 에 있어서도 조합발명이 신규하거나 다른 기능
및 상승적인 효괴 (new or different function and synergistic result) 를 가져오는지
에 대한 논의가 있는 와중에서 Graham test의 결과를 인용하여 그 발명이 비자명
성을 갖는 것이 라고 명 백 히 판단함으로써 Graham test를 채택하고 있다

작성자 낭만호빵

그라함 테스트(비자명성 테스트)